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6

[데이터베이스] Storage and File Structure - Block, File organization, Fixed/Variable Records 저장 방식 Overview of Physical Storage Media 데이터의 이동 : CPU ↔ 메인메모리 ↔ 디스크 디스크에서 필요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을 메인 메모리로 이동 메인 메모리에서 CPU가 원하는 데이터를 찾음 Blocks : 데이터에 접근하고 이동하는 기본 단위 - DB 시스템은 블록의 전환 최소화를 추구함 Buffer : 메인메모리의 영역으로, 디스크의 블록을 복사해해서 저장한다 Buffer manager : 메인메모리 안의 버퍼 공간을 할당하는 서브 시스템 Buffer manage의 동작 필요한 블록이 현재 버퍼 안에 있는 경우, 블록의 주소를 반환 필요한 블록이 현재 버퍼 안에 없는 경우 버퍼에 공간을 할당한다 필요한 경우 새 블록과 교체함 Replaced block written back.. 2021. 12. 19.
[데이터베이스] Entity-Relationship Model - 모델링, ERD, 관계형 스키마 Modeling 데이터베이스는 entity와 그 관계로 모델링 될 수 있다. -> Entity-Relationship(E-R) Model attribute type simple / composite : 속성을 subpart로 나눌 수 있고 없음 name -> {first_name, middle_name, lasst_name} single-valued / multi-valued : 여러 개 값을 가지는 속성 phone_number -> 한 사람당 2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가질 수 있음 derived attributes : 다른 속성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속성 age로부터 date_of_birth를 유추할 수 있다. composite, multi-valued, derived 속성은 뒤에서 스키마 표현 방식.. 2021. 12. 14.
[디자인패턴] 컴포짓 패턴 (Composite Pattern) 목적 클라이언트가 각 객체와 객체의 묶음을 동일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함 요소 문제 : 프로그램에서 각각의 객체(개별 객체) 또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객체 묶음(복합 객체)을 다뤄야 함 해결 : 개별 객체와 복합 객체에 대해 동일한 작업을 적용. 대부분의 경우에 개별 객체와 복합 객체의 차이를 무시할 수 있도록 함 결과 : 유지보수에 유리 정의 컴포넌트 개별 객체와 개별 객체들을 계층 구조로 포함하는 복함 객체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또는 추상 클래스 개별 객체(Leaf)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없는 컴포넌트 복합 객체(Composite) 개별 객체 또는 다른 복합 객체를 포함할 수 있음 컴포짓 패턴을 이용한 메뉴 디자인 MenuItem은 개별객체(Leaf), Menu는 복합 객체(Composite) .. 2021. 12. 13.
[디자인패턴] MVC 패턴 목적 업무 로직(Business Logic) 및 데이터(Model)와 보이는 부분(View)을 분리 요소 문제 :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를 보여주는 부분(뷰)의 코드가 섞여있음 해결 : 데이터와 뷰를 분리하고 이들을 연동시키는 컨트롤러를 추가 결과 : loose coupling, 재사용성 설계 모델 : 데이터를 관리하는 부분 뷰 : 화면에 보이는 부분 컨트롤러 :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고, 모델과 뷰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지원 MVC 패턴의 장단점 장점 클래스간 정보 공유를 최소화시킴 - 모델과 뷰가 서로에 대해 잘 몰라도 됨 같은 모델에서 여러 개의 뷰를 지원할 수 있음 단점 뷰가 업데이트 되어야 함을 알려줘야함 - 모델이 뷰에게 데이터를 직접 전달하는 것 보다 비효율적임 컨트롤러의 역할이 .. 2021.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