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67

git 사용 명령어 정리 1. git 저장소 가져오기 git clone "~" 2. git 변경내용 확인하기 git fetch 3. 변경 내용 가져오기 git pull origin master 4. 작업 내용 확인하기 git status 5. 작업 내용 추가하기 git add * / git add 파일명 6. 작업 내용 정리 하기 git commit -m "작업 내용" 7. 작업 내용 올리기 git push origin master git init (깃 프로젝트로 변경) git add * (프로젝트 내부 파일들을 모두 깃 관리에 추가) git status (현재 관리 목록 확인) git add .gitignore (*로 추가 안된 파일 추가) git add .meteor (*로 추가 안된 파일 추가) git commit (현재 .. 2020. 1. 19.
CSS - CSS의 기초, 선택자 생활 코딩 강의를 보고 공부한 내용을 기록합니다 CSS의 기초 위 html 코드 중 빨간색 박스 친 부분이 CSS입니다 style태그 안의 코드는 CSS의 "선택자"를 이용한 코드입니다 h1태그 안에 style=""에 들어간 CSS코드는 굉장히 직관적이라 설명이 필요없을 듯 하네요 선택자에 대해 알아봅시다 괜찮은 그림이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h1부분은 주어이고 중괄호 부분은 선언 입니다 이렇게 선택자는 크게 주어랑 선언으로 이뤄져있습니다 선언 안에는 여러가지 스타일 속성들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의 코드를 보면 style태그 안에서 선택자를 이용해 "모든 h2의 속성을 blue로 하라"라는 코드인 겁니다 다음 글에선 아이디 선택자, 클래스 선택자, 부모 자식 선택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0. 1. 14.
코틀린(Kotlin) 스터디 3 - Nullable, 예외처리, 함수 Nullable 타입에 상관없이 null 할당이 가능한 다른 언어와 달리 Kotlin에선 null 할당이 가능한 타입을 별도로 지정 (null에 의한 오류가 흔하고 치명적이기 때문) 타입에 ?을 추가하여 null할당이 가능한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예외처리 자바의 예외처리와 같다 근데 catch의 조건에 들어가는게 조금 다르다 자바의 예외처리 코틀린의 예외처리 함수 함수의 선언과 사용 Kotlin에서 함수 선언 방식은 다음과 같다 fun 함수이름(매개변수) : 리턴타입 fun 함수이름(매개변수) 2020. 1. 13.
코틀린(Kotlin) 스터디 2 - Array, Collection(List, Set, Map) 코틀린에서 배열에 대해 공부해보자 Array Array 배열의 생성 방법엔 두 가지가 있다 1. arrayOf()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 2. filter를 이용하는 방법 위 코드는 모두 같은 결과를 갖는다 이렇게 생성한 배열의 요소에 접근 하는 방법 1. 인덱스로 접근 2. iterator를 이용하여 접근 위 코드는 모두 같은 결과를 갖는다 두번째 방법의 경우 i에는 요소값이 들어간다 작동 방식은 잘 모르겠지만 파이썬에서도 같은 방법을 쓰니 이해하기에 크게 무리는 없다 Colloection 이 부분이 스터디할 때도 그렇고 지금도 잘 정리가 안된다 이 아래 내용은 틀린 내용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래도 내가 보기위해 정리하는 거니까 계속 작성해보려한다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차차 수정해나갈예정 일단 List와 .. 2020. 1. 12.